본문 바로가기
🌍 해외생활 정보

독일에서 집 보러 갈 때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(실전 정리)

by 슬레발 2025. 4. 24.
반응형

 

🏠 집 구할 때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

 

이 표는 집을 볼 때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한 것입니다. 기록란에는 예시도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. 각 항목에 해당하는 독일어 질문과 그 번역도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아래에는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추가했습니다.

 


1. 임대료 (Miete)

- Kaltmiete: 난방, 전기, 수도 등을 제외한 순수 임대료입니다. 이 금액은 집 자체의 월세만 포함된 금액으로, 관리비나 유틸리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

-> 즉 관리비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 월세

 

- Warmmiete: 관리비(Nebenkosten)가 포함된 임대료입니다. 관리비에는 난방비, 수도비, 청소비, 쓰레기 수거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, 이에 따라 집에서 실제로 지불하는 금액이 달라집니다.

유틸리티(Utility)란? 집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서비스시설을 의미합니다. 주로 전기, 수도, 가스, 인터넷, 난방 등의 항목이 포함됩니다.

-> 즉 관리비(보통 가스와 수도) 포함한 월세 가격

 

2. 관리비 (Nebenkosten)

- Nebenkosten은 임대료 외에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들로, 수도, 난방, 쓰레기 수거, 청소, 엘리베이터 운영비 등이 포함됩니다.
- 그러나 전기인터넷은 별도 비용으로 청구될 수 있기 때문에, 반드시 계약서에 포함 항목을 명확하게 확인해야 합니다.
- 예를 들어, 관리비가 100€로 명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, 이는 수도, 난방 등 포함을 의미합니다.

3. 보증금 (Kaution)

- 보증금은 한국과 다르게 보통 월세의 2~3배정도가 일반적입니다. 독일에서는 법적으로 최대 3배까지 보증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계약 종료 후, 집에 손상이 있으면 보증금에서 차감될 수 있습니다. 이를 방지하려면 입주 전 집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고, 사진을 찍어서 하자사항을 집주인 이메일로 보내놓는것이 좋습니다. 이미 집이 오래되어 손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집이 손상되었다는 핑계를 대면서 보증금을 차감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.
- 한국과 다르게 보증금 반환은 법적 규정에 따라, 계약 종료 후 최대 6개월까지 보증금을 돌려주지 않아도 됩니다. 보통 1~2개월 이내에 반환하지만, 집에 손상이 있거나 청소비용 등이 발생한 경우 추가적으로 시간이 필요할 수 있습니다.

- 보증금과 관련하여 분쟁이 생각보다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보험과 서비스도 염두해둘 수 있습니다.

3.1 보증금 대리 서비스 (Kautionshilfe)

  • 보증금 반환 문제를 법적으로 대리해주는 서비스입니다.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 법적 조치를 대신 취해주며, 세입자가 보증금을 정확히 돌려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  • 수수료는 보통 5~10% 정도가 발생할 수 있으며, 주로 법률 사무소전문 기관에서 제공됩니다.

3.2 보증금 보장 보험 (Kautionsversicherung)

  • 보증금을 보험으로 대체하여, 보험사가 임대인에게 보증금을 예치하는 방식입니다. 연간 3~5% 정도의 보험료가 발생합니다.
  • 보증금 반환 시, 계약 종료 후 손상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4. 계약 조건 (Mietvertrag)

- 계약기간, 해지 조건, 수리 책임 등은 반드시 확인하는것이 좋습니다.
- 보통 계약 해지 시에는 3개월 전에 통보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. 하지만 추가적으로 1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는 조건이나 다른 특이 조건이 있을수 있으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 

5. 집 상태 (Wohnungsübergabe)

- 집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세요. 벽, 바닥, 창문, 전기, 수도 상태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.
- 집에 손상이 있을 경우, 계약서에 명시된 상태로 복구해야 하므로 입주 전 사진을 찍어 두고, 집주인 이메일로 증거를 남기는 것이 좋습니다.
- 예를 들어, 벽에 흠집이 있으면 사진을 찍어 이메일로 보내고, 이를 계약서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증거를 남기세요.

 

6. 부엌 (Küche)

- 독일에서는 부엌이 없는 집도 많습니다. 따라서 부엌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, 설치해야 한다면 비용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
- 부엌 설치 비용은 평균 800~2000유로 정도가 들 수 있으며, IKEAKüche24와 같은 사이트에서 부엌을 구매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.

- IKEA부엌 가구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며, Küche24는 부엌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입니다.

주요 사이트 정보:

- 하지만 3년 이상 거주하지 않을 계획이라면, 부엌이 있는 집으로 가는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합니다.

 

7. 난방 방식 (Heizung)

- 난방 방식은 중앙난방, 가스난방, 전기난방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각 난방 방식에 따라 온도 조절 방식, 비용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확인해야 합니다.
- 특히, 중앙난방은 개인이 온도를 조절하기 어렵고, 중앙에서 난방을 조절하기 때문에 밤에 난방이 꺼져 춥게 자야할 수도있습니다.

 

8. 인터넷 (Internetanschluss)

- 인터넷 설치 여부와 속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 독일에서는 16~50Mbps 정도의 속도가 일반적일 수 있습니다.
- 필요한 속도에 맞는 인터넷 서비스를 설치할 수 있는지, 설치 가능한 회선이 있는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- 특히 WG 같은 경우, 한 인터넷을 여러명에서 사용하면 주말에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는 대참사를 느낄 수 있습니다.

- 구글에 internet speed test를 검색하면, 쉽게 인터넷 스피드 확인이 가능합니다.

 

9. 중개수수료 (Maklerprovision)

- 대부분의 집은 개인 간 거래이지만, 간혹 부동산 중개인을 통해 거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때 발생하는 중개수수료세입자가 부담할 수 있으므로,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- 예를 들어, 중개수수료가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다면 세입자가 부담하는지, 집주인이 부담하는지 확인하세요.

 

10. 반려동물 (Haustiere)

- 반려동물을 키우실 계획이 있으신분들은 허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 일부 집에서는 개,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을 금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, 계약서에 반려동물 허용 여부가 명시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.
- 물고기나 작은 동물은 허용되는 경우가 많지만, 반드시 계약서에 규정이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
- 심지어 독일은 물고기도 관련 손해 보험을 들어야 키울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.

 

11. 임대인/이웃 (Vermieter & Nachbarn)

- 임대인과의 연락 속도와 문제 해결 능력을 체크해야 합니다. 문제가 생겼을 때 임대인이 얼마나 빠르게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이웃 소음 수준과 분위기도 중요합니다. 너무 시끄러운 이웃이나 불편한 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이웃의 분위기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- 독일 아파트는 생각보다 방음이 잘 되지 않습니다.

 

 

아래는 실제로 인쇄해서 독일에서 집 보러 다닐때 확인한 리스트 입니다.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간단한 체크리스트

주소 :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항목 (한국어 / 독일어) 확인해야 할 사항 기록란
임대료 (Miete) Kaltmiete: 순수 임대료 (난방, 전기, 수도 제외)
Warmmiete: 관리비 포함 임대료
505 €
605 €
관리비 (Nebenkosten) 수도, 난방, 청소, 쓰레기 수거 등이 포함될 수 있음.
전기, 인터넷 별도인 경우 많음.
질문 : Welche Nebenkosten sind enthalten? (관리비에 어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나요?)
100 €
보증금 (Kaution) 보증금은 보통 월세의 2~3배. 계약 종료 후 손상 시 일부 차감 가능.
질문 :  Wann wird die Kaution zurückgezahlt? ( 보증금은 언제 돌려주시나요?)
1500 €
계약 조건 (Mietvertrag) 계약기간, 해지 조건, 수리책임 등 확인 해지 통보는 보통 3개월 전
질문 :  Wie kann ich den Mietvertrag kündigen? (계약을 어떻게 해지하나요?)
1년 의무 계약 후 3개월전 통보
집 상태 (Wohnungsübergabe) 벽, 바닥, 창문, 전기, 수도 상태 확인
사진 촬영 후 이메일로 증거 남기기
냉장고 문 망가져있음.
부엌 (Küche) 및 가구(Möbel) 부엌 설치 여부 확인 (평균 800~2000유로)
부엌이 없는 경우도 있음
질문 :  Ist eine Einbauküche vorhanden? (설치된 부엌이 있나요?)
부엌, 식기세척기, 냉장고 O
책상, 선반 X
난방 방식 (Heizung) 난방 방식 확인 (중앙난방, 가스, 전기 등)
질문 : Welche Heizungsart gibt es? (난방 방식은 무엇인가요?)
 
인터넷 (Internetanschluss) 인터넷 설치 여부 및 속도 확인
질문 :  Wie schnell ist das Internet hier? (인터넷 속도는 어떤가요?)
개인이 설치해야함
중개수수료 (Maklerprovision) 부동산 중개인 수수료 확인. 세입자가 부담하는 경우 있음
질문 : Wer übernimmt die Maklerprovision? (중개수수료는 누가 부담하나요?)
개인 거래
반려동물 (Haustiere) 반려동물 허용 여부 확인
질문 : Sind Haustiere erlaubt? (반려동물 허용되나요?)
물고기 가능
임대인/이웃 (Vermieter & Nachbarn) 임대인의 연락 속도, 이웃의 소음 수준 체크 답변 빠른편

 

반응형

댓글